제 7회 손끝으로 문장읽기 - 과제 3. 필사 3회차

 

* 모든 글은 인용 , 복사 및 변형을 불허합니다.

 

 이번 3주차에는 김세희 작가의 『가만한 나날』 에 수록된 단편선 中 「우리가 물나들이에 갔을 때 「얕은 잠」두 단편을 일독했다. 기실 두 단편 중에서도 「우리가 물나들이에 갔을 때 가 더욱 마음에 인상적으로 다가왔는데, 아버지를 바라보는 스물 여덟 살 아들의 내면세계와 아버지와 맺고 있는 그 관계가 흥미롭고도 공감적으로 다가왔기 때문이었다.

 나이가 들수록 부모님의 약한 모습이 더 쉽게 눈에 들어오고, 부모님의 여러 부분 중 가장 미워하고 닮고 싶어하지 않는 부분일수록 더욱 닮아 보이기 마련이다.

  「우리가 물나들이에 갔을 때 에 등장하는 스물 여덟살의 주인공 '나'의 감정에 너무나 잘 이입되었다. 그와 같은 나이라서 더욱 그랬던 것일까. 분명 성인이기도 하지만, 심지어 '나'는 루미와 혼인신고를 했을 정도로 이제는 가장의 역할을 기꺼이 지고 가야 할 나이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물 여덟이라는 나이는 너무도 어린 나이임과 동시에 어른으로서의 책임감에 두려워지는 나이이기도 하다. 어쩌면 먼 미래에 아버지와 같은 모습으로, 자기가 바라지 않았던 모습으로 늙어갈 자신에 대해 두려워하는 주인공의 모습에 나 또한 깊이 공감되었다.

 나는 먼 미래에 어떤 어른으로 살아가고 있을까. 이 작품은 김승옥의 소설 『서울,1964년 겨울』이나 『무진기행』을 떠올리게 해 주었다. 특히 『서울,1964년 겨울』의 결말부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었다. 분명히 아직은 어린 것 같은데 너무도 늙어버린 것만 같은 아이러니함이란.......

 


  젊은 김씨와 안씨가 말했다.
"김형, 우리는 분명히 스물 다섯 살 짜리죠?"
"난 분명히 그렇습니다."
"나두 그건 분명합니다." 그는 고개를 한 번 기웃했다.
"두려워집니다."
"뭐가요?" 내가 물었다.
"그 뭔가가 그러니까……." 그가 한숨 같은 음성으로 말했다.
"우리가 너무 늙어 버린 것 같지 않습니까?"


- 김승옥, 『서울,1964년 겨울』 中에서.

 

 

 한편, 「얕은 잠」 은 앞의  「우리가 물나들이에 갔을 때처럼 비슷한 삶의 시기를 겪고 있는 데서 우러나오는 깊은 공감을 했던 것은 아니지만, 작품의 결을 따라가면서, 주인공의 내면세계에 공감할 수 있었다.

 특히 보드를 타던 주인공이 두려움을 이겨내고 도약하던 그 장면이 마음에 와 닿았는데, 이런 도약이 미려에게 있었기에 작품의 결말부, 단지 메세지만 남기고 정운이 사라진 그 순간에서 오히려 심적인 여유를 지닐 수 있었던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by papyros 2019. 4. 17. 16: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