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밀밭의 파수꾼을 읽고

 

 ‘홀든 콜필드’. 중고등학교 학창시절에는 이 소년을 획일적이고 억압적 교육에 반항하는 학생으로서 획일적이고 주입식 교육에 의해 희생당한 반항아’, ‘문제아로서 사랑과 관심으로 보듬어 주어야 할 소년 정도로만 생각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 학생들을 포기하지 않고 깊은 사랑과 관심을 주면서 내면의 상처를 보듬어 주면서 교육해 나가는 진정한 참교사가 되겠다는 생각이 마음속에 커다랗게 자리 잡았던 것 같다.

 그러나 성인이 되어 오랜만에 다시 만난 콜필드는 문제 학생이 아니었다. 학창시절부터 주어진 길, 올바른 삶만을 추구하며 기성세대가 전해주는 가치에 대해 일말의 의심을 품지 않았던 전형적인 학생이었던 내가 콜필드에게 가졌던 인상은 문제 학생이라는 낙인에 불과했던 것으로 보인다.

 콜필드는 그 누구보다도 문학적 감수성이 풍부하고 자기만의 가치관과 내면의식이 풍요로운 개성이 풍부하고 작가로서의 가능성이 돋보였던 학생이었을 뿐 아니라, 유년기와 청년기의 진실함과 순수함을 간직하고 있는 학생이었다. 동생인 피비를 누구보다 아끼고 순수함을 지켜주기 위해 노력하며, 호밀밭의 파수꾼이 되고픈 꿈을 지니고 있는 이유도 노래를 부르면서 아이들을 보호해주고 싶다는, 아이들의 순수함을 지키려는 소망에서 비롯된 꿈이었다.

그건 그렇다치고, 나는 늘 넓은 호밀밭에서 꼬마들이 재미있게 놀고 있는 모습을 상상하곤 했어. 어린애들만 수천 명이 있을 뿐 주위에 어른이라고는 나밖에 없는 거야. 그리고 난 아득한 절벽 옆에 서 있어. 내가 할 일은 아이들이 절벽으로 떨어질 거 같으면, 재빨리 붙잡아주는 거야. 애들이란 앞뒤 생각 없이 마구 달리는 법이니까 말이야. 그럴 때 어딘가에서 내가 나타나서는 꼬마가 떨어지지 않도록 붙잡아주는 거지. 온종일 그 일만 하는 거야. 말하자면 호밀밭의 파수꾼이 되고 싶다고나 할까. 바보 같은 얘기라는 건 알고 있어. 하지만 정말 내가 되고 싶은 건 그거야. 바보 같겠지만 말이야. (민음사, 229-230)

 그러나 콜필드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는 그가 지키려난 순수함과는 매우 대조적이다. 내적인 가치보다는 외적인 가치로 사람을 평가하고 있다. 콜필드가 그나마 믿고 따르는 두명의 스승스펜서와 앤톨리니가 그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와 기성세대를 대표하고 있다. 교사 스펜서는 콜필드의 문학실력만큼은 뛰어남에도 불구하고 다른 과목들에서 낙제점을 받았다는 이유만으로 그가 실력 없는 학생이라고 생각 하고 있으며, 교사 앤톨리니는 결국 아무리 개성 있고 창의성이 있어도, 한 분야에서 실력이 출중해도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 결국 더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고 있다는 사회적 평가와 현실을 대변한다.

교육받고 학식이 높은 사람만이 세상에 가치 있는 공헌을 한다는 건 아니야. 내가 말하고 싶은 건, 교육을 받고, 학식이 있는 사람이 재능과 창조력을 가지고 있다면, 불행히도 드문 경우이긴 하지만……, 그냥 재능 있고 창조력이 있는 사람보다는 훨씬 가치 있는 기록을 남기기 쉽다는 거지. 불행히도 이런 사람들은 많지 않아. 이들은 보다 분명하게 의견을 이야기하고, 자신들의 생각을 끝까지 추구하는 경향이 있어 거기에 가장 중요한 건 이런 사람들은 대부분 학식이 없는 사상가들보다 겸손하다는 걸 들 수 있어. 무슨 소린지 알아듣겠어?(민음사, P250)

 결국 콜필드를 문제 학생으로 보이게 하고, 그가 퇴학당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인간 내면의 진실함이나 개성, 창의력보다는 시험 점수라는 겉으로 드러나는 외적인 능력으로만 사람을 평가하는 사회적 인식으로 인한 교육제도 때문이었다. 또한 호밀밭의 파수꾼이 작가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의 자전적 소설임을 염두에 둔다면, 작품 속 시대적 배경이 1930년대 정도로 추정되며 당시 미국의 경우 재건주의 교육운동이 확산되어 사회 질서에의 적응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에 반대하여 사회의 새로운 목표를 지향했으며 사회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으므로 그러한 사회적 가치를 소설 속에 담아내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특히 소설이 1951년에 출간되었다는 점을 생각 해 보면, 적어도 스푸트니크 충격으로 학문중심 교육과정이 우세하기 이전의 1950년대 초반까지는 경험중심 교육과정이 주도권을 잡고 있었기에 출간 시기와 소설 속에서 배경으로 삼고 있는 시기를 통해 학생들의 전인교육, 통합적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않았나 생각한다. 즉 지나친 주입식, 암기식 교육 제도는 학생들에 대한 전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점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며 콜필드는 그러한 교육제도의 피해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사회와 기성세대의 위선, 인간 내면의 본래적 가치가 아닌 외적인 가치를 중시하며 물질만능주의에 빠져있는 것에 대해 비판하며 염증을 느끼고 있는데, 당시 학교에서 발견하게 되는 위선의 인물 중 하나로 펜시 고등학교에 많은 기부금을 내어 그 이름을 딴 건물도 있는 장의사 오센버거(Ossenburger)를 통해 발견된다. 그는 학생들 앞에서 연설할 때 물질적 성공만을 강조하고, 자신의 기여사실을 자랑하고 드러내는 데에만 급급하다. 또 그러한 오센버거에게 굽신대는 교장의 모습 또한 마찬가지이다.

 즉 콜필드는 사회 및 교육제도, 기성세대 전반에 대해 회의감을 품고 어른들의 외적인 세계와는 대조되는 내적인 순수함과 진실성을 추구하는 인물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며, 위대한 개츠비에서도 물질만능주의와 위선으로 가득 찬 사회에 대조되어 개츠비의 순수성이 부각되기 때문에 작품 안에서 콜필드가 위대한 개츠비라는 작품을 좋아하는 이유가 되며 작가 샐린저가 위대한 개츠비를 극찬한 이유이기도 하다.

 그러나 콜필드의 진실성과 순수함을 유지하기 위한 대항방식에서는 문제점을 찾을 수 있는데, 그가 클럽에서 성적인 것을 추구하거나, 동료 학생들과의 관계에서 비속어를 사용하는 등의 행동은 분명히 부도덕한 행동이며 음주 , 흡연 등을 하며 기성세대를 비판하면서도 모방하면서 도피하려는 모습을 보인다. 특히 피비와 함께 서부로 도망가려는 모습에서 그가 현실에서 도피하고자 하는 모습이 부각 되는데, 이는 콜필드가 학교에서도 가정에서도 충분한 관심과 사랑을 받지 못했고, 자신의 정체성 및 가치관을 형성하기 위한 롤모델-도덕적 책임감에 기초한 권위자,리더-에 의한 가치관교육이 전혀 부재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즉 청소년기의 가치관교육의 중요성과 인생의 안내자이자 조언자로서의 교육자의 역할에 대해 중요한 메시지를 전한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미를 지닌 소설이라는 의의를 지니고 있다.

 

 

 

by papyros 2013. 6. 1. 0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