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회 손끝으로 문장읽기 - 과제 3. 필사 3회차

 

 

* 모든 글은 인용 , 복사 및 변형을 불허합니다.


 

 어느덧 손끝으로 문장읽기 필사 3회차를 맞았다. 이번 주에는 지난주에 미처 다 읽지 못한 2장의 남은 부분에 이어, ‘3. 타인과 함께하는 삶을 일독하고 필사했다. 드디어 3장에 이르러 개인 수양과 성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글이 나오기 시작했는데, 나의 삶을 아우르고 있는 핵심주제 중 하나라서 그런지 더욱 좋은 문장들이 많았다.

 

 

 

 

먼저 2장의 학림옥로라는 시는 참으로 많은 감정을 불러일으켰다. 늘 고군분투하는 삶에 위로와 희망을 주는 시였기 때문이다. 늘 삶에서 목표한 바를 이루기 위해, 간절히 바라는, 바라온 바를 이루어 조금이나마 더 나은 삶’, ‘더 행복한 삶을 위해 너무도 쉼 없이 달려왔고, 지금도 달려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내가 힘들여 어렵게 찾고 있는 것이 사실은 아주 지척에 있을지도, 아니 이미 바로 옆에 존재하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느낌이 들어 이 시를 읽고는 포근함, 따뜻함을 느꼈다.

 

 

하루 종일 봄을 찾아도 봄이 보이지 않아

짚신 신고 산꼭대기 구름 속을 다 밟고다녔네

돌아와 우연히 매화 가지 잡고 향기 맡으니

봄은 나뭇가지 끝에 이미 와 있었네.

 

 - 나대경, 학림옥로

 

- 장유승, 046. 봄은 이미 와 있었네, 일일공부, 민음사, 2017, P110-111.

 

 사실 이렇게 고군분투하며 삶을 살아오기 때문에 학림옥로라는 시의 한 구절이, 책 한 권이 참으로 귀하고 아름다울 수 밖에 없는 것 같다. 심리적, 정서적 휴식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바로 다음 페이지에 이어진 휴식에 대한 논의처럼, 대한민국 사회는 피로사회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늘 경쟁 속에 놓여있으며 긴장상태에 살아가는. 얼마 전 알쓸신잡에서 논의된 커피’(카페인)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도 이와 맥을 같이한다. ‘커피가 필요할 수밖에 없는 사회인 것이다. 유럽 여느 국가들은 한 달이라는 시간을 들여 휴가를 간다는데 휴가를 한번 다녀오려고 해도 연차일수를 헤아리고 있는 한국 사회의 피로도 높으며 휴식 없는 모습이 아래 글에 잘 드러난다.

 

 

 사람은 쉬지 못해서 고생하는데, 세상은 쉬지 않는 것을 좋아한다. 무엇 때문인가? 사람의 수명은 그리 길지 않아서 백 살까지 사는 사람은 만에 한둘도 없다.

 설령 있다 해도 어려서 아무것도 모를 때와 늙어서 병들 때를 제외하면 건강하게 일할 수 있는 기간은 사오십년에 불과하다. 거기서 또 영예와 치욕을 겪으며 부침하고, 이익과 손해를 기뻐하고 슬퍼하며 느긋하게 즐거워하고 마음껏 쉴 수 있는 날은 수십일에 불과하다. 더구나 백년도 못 살면서 끝없는 근심 걱정을 겪어야 하지 않는가.

 이것이야말로 세상 사람들이 우환에 시달리면서도 끝내 쉴 기약이 없는 까닭이다. 얼마 안 되는 복을 탐내서 위험한 곳에 두는 것과 쉬는 것 중에 어느 것이 나은가? 허리를 굽힌 채 고생스럽게 일을 하고 노심초사하며 능력을 넘어서는 일을 하는 것과 쉬는 것 중에 어느 것이 나은가? 마음속으로 손익을 계산하고 억지로 마음을 다 잡으며 늙어 죽은 다음에야 그만두는 것과 쉬는 것 중에 어느 것이 나은가? 인간 세상에서 가장 즐거운 일은 쉬는 것인데, 도리어 문제로 여기니 어리석은 생각이다.

 

-『사숙재집

 

- 장유승, 047. 쉬지 못하는 까닭, 일일공부, 민음사, 2017, P112-113.

 

 

 어쩌면 이렇게 피로사회가 된 것은, 개개인의 삶 속에 스트레스와 부담감이 만연한 이유는 결국 개개인 간의 경쟁을 야기하는 사회문화적 배경 속에 있지 않은가 싶다. 좋은 점수를 받아 좋은 대학에 가야하고, 좋은 직장에 가서 안정적인 자리에 오르고, 높은 위치에 올라 성공해야 하는 그 과정에서 향유해야 할 사람 간의 관계와 도리수단으로서 사용하는 목적전도의 현상이 뒤따른다. 그렇기에 3장에서 보여주는 관계에 대한 메시지들은 더욱 의미 있게 다가온다.

 

 

 

 

네가 아침저녁으로 집안살림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지금 이렇게 노비 한 사람을 보내니 네가 나무하고 물 긷는 수고를 덜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 사람도 누군가의 자식이니 잘 대해주거라.

 

- 남사(南史)』 『도연명전(陶淵明傳)

 

- 장유승, 065. 이 사람도 누군가의 자식이니, 일일공부, 민음사, 2017, P150-151.

 

 

 

 도연명이 집안에 노비 한사람을 보내며, 아들에게 전한 내용이라고 한다. 그 어떤 신분질서가 없는 평등한 사회인데도 불구하고 서비스직 종사자, 회사의 부하직원 등에 갑질을 일삼는 이들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3장에 나오는 여러 마음에 남는 문구들은 인간관계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갈등, 자신에 대한 타인의 비판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여러 메시지들을 전해주고 있는데, 결국 평가나 비판에 민감한 우리들 개개인의 모습도, 어쩌면 있는 그대로 사람-(나 자신)을 사랑하고 존중하며 향유의 방식으로 대하기보다는 목표하는 바를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며 잘못된 방법으로 사랑하고 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반상의 질서가 견고했던 시대임에도 도연명이 노비(머슴) 한 사람까지 귀하게 대접했듯이, 우리 사회 또한 성공이나 성취’, ‘결과’, ‘사회적 지위로 사람을 대하는 것이 아닌, 그 개인의 본질을 바로 보고 모든 사람을 귀하게 여기는 사회로 나아갔으면 한다.

 

by papyros 2017. 7. 26. 1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