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회 손끝으로 문장읽기 4주차 필사 3회차 

* 모든 글은 인용 , 복사 및 변형을 불허합니다.


 


 어느덧 한 달이라는 시간이 유수같이 흘러 어느덧 제 3회 손끝으로 문장읽기 4주차- 필사 3회차-를 맞았다. 지난 3주차 때 여행 중이어서 미처 다 필사하지 못한 「상상의 인도」 부분 중 마음에 드는 구절들을 필사했으며, 「사라져버린 날들」, 그리고 책의 마지막 장인 「보르메의 섬들」까지 모두 완독 후 필사를 마무리했다.

 특히 지난 주차에 읽고, 이번주에 필사한「상상의 인도」 부분을 읽으며 그르니에의 충격이 유독 많이 느껴졌다. 물론 일면 그르니에가 인도를 바라보는 시각이 문화 상대주의를 인정하지 못하는 모습으로서 비판될 수 있겠으나, 그르니에가 전하고자 했던 핵심적 가치가 마음에 남았다. 특히 오늘이 4.19혁명 57주년 당일이기도 하고, 세월호 3주기가 지난 지 불과 몇 일 되지 않아 더욱 그러한지도 모르겠다.

 '〈비인간적.〉 이것이야말로 완전히 관심 밖으로 밀려난 상태에 대한 엄청난 표현이다. 인도는 비인간적인 고장이다. 이 고장에서 한 인간은 다른 한 인간만한 값이 못 된다. 어떤 인간은 짓밟히고 짐승과 같은 상태로 천대받는다. 폭군들은 아무런 통제도 받지 않고 군림한다. 부당 정세는 드문 일이 아니다. 힌두교도들 서로간의 형편은 이렇다. 그들이 핍박받아 왔다고 해서 그들의 인간 됨됨이를 인정하지 않아서는 안 된다. 그들은 비인간적 백성이다. 인간성의《밖에》있는 백성이다.
사회 구조 그 자체, 카스트의 구분, 복잡한 의식들, 사회에 의하여 개인을, 종교에 의하여 인간을 짓누르는 모든 것.‘

                                                         - 장 그르니에, 「상상의 인도」,『섬』, 민음사, 2008, 141쪽.

 

 또한「사라져버린 날들」에서 그가 이야기하는 ‘공백’의 삶 또한 매혹적이었다.
늘 무언가를 채워 넣기에 바쁜 현대인.....우리들에게, 장 그르니에는 그저 무상으로 주어진 삶을 윤택하게 살아가는 ‘여유’의 미학을, ‘공백’의 미학을 보여주고 있다. 그의 그런 면면에 부러움을 느꼈다.

 

 ‘오늘 다른 사람들은 자기의 일기 수첩 agenda(어원적으로, 내가 해야 할 일들이라는 뜻)을 들여다보고 있는데, 나는……. 아무것도 하는 일 없는 공백의 페이지다. 완전히 공백 상태인 오늘만이 아니다. 내 일생 속에는 거의 공백인 수많은 페이지들. 최고의 사치란 무상으로 주어진 한 삶을 얻어서 그것을 준 이 못지않게 흐드러지게 사용하는 일이며 무한한 값을 지닌 것을 국부적인 이해 관계의 대상으로 만들어놓지 않는 일이다.’

                                                   - 장 그르니에, 「사라져버린 날들」, 『섬』, 민음사, 2008, 167쪽.

 

by papyros 2017. 4. 26. 23:53